안녕하세요. 경제친구입니다.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지식재산권(IP) 가치가 최대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처럼 막대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IP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의 IP 산업화 경쟁력은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 지재권자 상위 50개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단 한 곳도 포함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창조적 콘텐츠는 만들어낼 수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산업화하여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목차
글로벌 IP 미국 32개 vs 한국 0개
전 세계 IP 산업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그 격차는 상당히 충격적입니다. 세계적 지재권자 50위 안에 미국 기업이 32개나 포함되어 있는 반면, 한국은 단 한 곳도 없다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이 분야에서 뒤처져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일본도 7개 기업이 명단에 올랐고, 중국과 프랑스도 각각 2개씩, 그 밖에 스웨덴, 영국, 캐나다, 이탈리아, 독일, 핀란드, 덴마크까지도 최소 1개씩은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보면 더욱 놀랍습니다. 미국의 월트디즈니는 미키마우스 등 슈퍼 IP를 활용해 지난해 약 86조원의 상품 판매를 기록했습니다. 해즈브로의 트랜스포머로 22조원, 워너 브라더즈의 배트맨으로 20조원 등 미국 상위 지재권 보유 기업 32곳의 IP 파생 수익만으로도 총 330조원에 달합니다. 이는 같은 해 한국 GDP의 13%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규모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꼭 대국만이 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일본의 산리오는 헬로키티 하나로 연간 11조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고, 핀란드의 작은 회사인 무민 캐릭터즈도 무민으로 1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중국의 알파그룹도 양과 회색늑대라는 캐릭터로 9800억원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성공 사례를 보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체계적인 IP 관리만 있다면 충분히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IP 부진 문제점
그렇다면 왜 한국은 이렇게 IP 산업화에서 뒤처지고 있는 걸까요? 대한상공회의소 보고서는 세 가지 핵심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원천 IP의 부족입니다. 우리나라는 K-팝, K-드라마, 웹툰 등 훌륭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이를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원천 IP로 발전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콘텐츠가 일회성 소비에 그치고, 지속적으로 파생 상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캐릭터나 세계관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IP의 다각적 활용에 대한 전략이 미흡하다는 점입니다. 성공적인 글로벌 IP들을 보면, 단순히 원작 콘텐츠만으로 끝나지 않고 게임, 굿즈, 테마파크,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까지 이런 통합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도 그것을 어떻게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확장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과 실행력이 부족합니다.
마지막으로 투자 여력의 부족도 큰 문제입니다. IP 산업화는 장기적인 투자와 인내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디즈니가 미키마우스 하나로 수십 년간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처럼, IP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가 커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대부분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장기적인 IP 육성에 필요한 지속적인 투자를 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특히 중소 콘텐츠 제작사들의 경우 자금 부족으로 인해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이를 제대로 발전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TT 플랫폼 시대 IP
최근 들어 더욱 심각해진 문제는 글로벌 OTT 플랫폼들이 한국 콘텐츠의 IP를 대거 확보해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징어 게임, 무빙 같은 대성공작들도 넷플릭스가 제작비 전액을 선투자한 대신 콘텐츠의 저작권과 모든 파생 부가가치를 가져가는 구조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한국 콘텐츠 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의 소중한 IP 자산이 해외로 유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IP 주권 펀드의 조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 콘텐츠 제작 자금을 조달하고, 그 결과물에 대한 권리를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의 지재권 확보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IP를 수출할 때 평균 1000만원 이상의 출원 비용이 드는데, 이런 비용 부담 때문에 많은 중소 업체들이 해외 권리 확보를 포기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 중심의 통합적 IP 전략입니다. 웹툰, 게임, 드라마, 굿즈, 공연 등이 하나의 세계관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합니다. 일각에서는 이런 통합적 IP 전략을 지원할 '케데헌 법안'(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따온 명칭)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콘텐츠 제작 지원을 넘어서, IP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 해외 진출까지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의미합니다.
마무리하며
글로벌 무역 환경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제조업 중심의 하드 머니보다는 창의성과 아이디어에 기반한 소프트 머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미 K-팝, K-드라마, 웹툰 등으로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문화 콘텐츠 강국입니다. 하지만 이런 성과에 안주해서는 안 됩니다. 지금까지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그 콘텐츠를 어떻게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로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미키마우스가 거의 100년 가까이 사랑받으며 수십조원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도 장기적 관점에서 IP를 육성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정부, 기업, 창작자들이 모두 힘을 합쳐 원천 IP 개발부터 해외 진출까지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 나간다면, 한국도 충분히 글로벌 IP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입니다.